“언론·문화예술 정책 집행 무리한 정치적 의도 작동”
ㆍ작가회의 ‘저항의 글쓰기’ 첫 심포지엄
ㆍ“반권력 중립정신 훼손” 자성도
한국작가회의(이사장 구중서)가 11일 ‘저항의 글쓰기’의 첫 펜을 들었다. 이날 서울 대학로 책읽는사회문화재단에서 열린 심포지엄 ‘국가와 예술-예술 표현의 정치와 문학예술’을 통해서다.
심포지엄은 도종환 시인의 사회로 오창은 문학평론가, 이영진 시인이 발제를 맡았다. 토론에는 고봉준 문학평론가, 김재영 소설가, 박정훈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 이선이 시인, 최문순 민주당 국회의원이 참여했다.
참석자들은 이명박 정부의 성장주의 기조에 따른 문화예술 정책, 예술계에 대한 정치적 검열, 예술의 국가 이데올로기 수단화 등에 대해 강도높게 비판했다. 발제에 나선 오창은 문학평론가는 “(이명박 정부 들어) 무리한 정치적 의도에서 일련의 언론정책과 문화예술 정책이 집행되고 있다”며 “신체로부터 감수성과 사고체계까지 이데올로기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하려는 국가기구의 의도가 작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영진 시인은 집회 불참 요구서 파문에 대해 “(정부가) 공공연하게 문화예술 지원기구를 정치적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한 것”이라며 “1987년 6월항쟁 이후 획득되었다고 믿었던 민주주의의 움직일 수 없는 도덕적 지평이 얼마나 허약한 것이었는지 깨닫게 한다”고 말했다.
박정훈 연구위원은 “국가는 공공부문 예술가들을 문선대로 만들고, 다시 민간예술가들의 입을 틀어막고 있다”고 지적하고, 예술기관의 민영화 정책과 문화 양극화 현상을 비판했다.
문화예술계에 긴장을 요구하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토론에 나선 김재영 소설가는 “국민의 정부나 참여 정부 시절 예술가단체들은 일부가 집권세력에 편입되면서 엄정한 비판정신과 반 권력적 중립정신을 훼손한 경향이 있다”며 “그러한 체질 약화 과정이 오늘날 정치적 보수화란 역풍 속에서 재빠르고 강력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프랑크 라 뤼 유엔 의사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민주주의라는 것은 군사적 위협이나 검열, 억압 등으로 성취하거나 증진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한국의 경우 분단의 현실이 이념적 위협으로, 무언가를 저해하려는 도구로 사용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고은 기자 freetr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