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공공연구소 Public Policy Institute for People
leftmenu notice
leftmenu bottom
notice
언론보도

제목 매노:시장화로 예술기관 존립기반 사라져
번호 356 분류   뉴스 조회/추천 1791  
글쓴이 연구소    
작성일 2010년 01월 22일 16시 05분 29초

"시장 중심 정책으로 예술기관 존립기반 사라져"
공공노조 19일 국립극장 발전방향 토론회서 주장

 
올해로 60년의 역사를 가진 국립극장이 기로에 놓였다. 이명박 정부가 오는 4월 국립극장 전속단체인 국립극단 법인화를 시작으로 국립극장의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시장화에 대해 공공노조 국립극장지부(지부장 윤석안)를 비롯한 문화·예술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국립극장을 방기하다시피 운영해 온 정부의 안일한 자세는 반성하지 않은 채 전속단체나 단원의 무능을 정체의 원인으로 보고 법인화를 밀어붙인다면 교각살우의 우를 범할 수 있다.”

유민영 단국대 석좌교수는 19일 서울 남산 국립극장에서 열린 ‘국·공립 예술기관 공공성 확보 및 국립극장 발전방향 토론회’에서 이같이 지적했다. 유 교수는 “국립극장이 2000년 행정기관에서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된 이후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공연보다는 대관에 열중하면서 지방순회공연이 줄었고 수작도 발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세입 확대에만 골몰할 경우 국립극장 설립취지에 충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국가가 육성해야 할 문화예술을 고사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가부키 등 고전예능을 보전하고 오페라 같은 현대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위해 각각의 국립극장을 운영하고 있고, 영국 국립극장은 셰익스피어 작품을 매년 새롭게 해석하는 공연을 최우선 레퍼토리로 하고 있다. 국민적 자부심 속에 국립극장이 존재하는 것이다.

연극평론가인 이태주 동아방송예술대 초빙교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 국립극장이 최고의 예술의 전당으로 자리매김하지 못한 이유는 공연의 생산자과 소비자인 국민·정부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면서도 “그동안 국립극장이 순수 예술창작기관으로 운영되기보다는 관 주도의 낙하산식 인사로 폐쇄적 운영을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법인화 이후 정부지원이 축소되면 국·공립극장은 돈벌이용 오락상업공연에 자리를 내주고, 예술단체는 점점 쇠퇴하고 결국 자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이형환 중앙대 국악대 교수에 따르면 국립극장이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된 첫해인 2000년에는 대관공연이 578건(251편)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1천323건(197편)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대신 정기공연은 같은 기간 69건(10편)에서 30건(6편)으로 대폭 줄었다. 이 교수는 “책임운영기관 전환 이후 지난 8년간 인건비가 2.4배 증가(2008년 기준 465억6천여만원)했는데 이는 전속단체 신규단원을 영입한 것이 아니라 다른 직급을 충원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속단원은 203명으로 정원(210명)에 미달하고 있다.

박정훈 사회공공연구소 연구위원은 “세종문화회관의 경우 법인으로 전환된 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예식장을 운영하는 등 점점 예술창작기관에서 멀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미영 기자  ming2@labortoday.co.kr
2010-01-20 오전 8:00:52  입력    ⓒ매일노동뉴스

  
덧말
이름 비밀번호
도배방지
이 게시판은 도배방지 기능이 작동중입니다. 아래 보이는 문자열을 직접 입력해 주세요.
문자는 마우스로 복사할 수 없습니다.
직접 입력
쓰기 목록   답글